display 속성에 대해 알기 전에 아래 내용을 알아야 한다.
HTML 태그는 "블록 레벨 요소"와 "인라인 레벨 요소"로 구분지을 수 있다.
종류 | 태그 |
블록 레벨 태그 | <p>, <h1> ~ <h6>, <ul>, <ol>, <div>, <blockquote>, <form>, <hr>, <table>, <fieldset>, <address> |
인라인 레벨 태그 | <img>, <object>, <br>, <sub>, <sup>, <span>, <input>, <textarea>, <label>, <button> |
그럼 "블록 레벨 요소"와 "인라인 레벨 요소"는 무엇일까.
블록 레벨 요소
- 블록 레벨 요소는 태그를 사용해 요소를 삽입했을 때 혼자 한 줄을 차지하는 요소
인라인 레벨 요소
- 줄을 차지하지 않는 요소


Display 속성을 사용하면 블록 레벨 요소를 인라인 레벨 요소로 바꾸거나 인라인 레벨 요소를 블록 레벨 요소로 바꿀 수 있다.
display : none | contents | block | inline | inline-block | table | table-cell 등
많이 사용하는 속성은 none, block, inline, inline-block
none : 해당 요소 화면 표시 X
block : 블록 레벨로 지정
inline : 인라인으로 지정
inline-block : 인라인으로 배치하면서 내용에는 블록 레벨 속성을 지정할 수 있음 width, height, margin, padding
'Front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S] Grid 속성 (0) | 2022.01.14 |
---|---|
[CSS] CSS의 7가지 단위 - 링크 (0) | 2022.01.12 |
[CSS] 스타일 우선순위 (0) | 2022.01.09 |
[CSS] Margin과 Padding (0) | 2022.01.09 |
[CSS]스타일<style>을 적용하는 세 가지 방법 (0) | 2022.01.09 |
댓글